디자인 패턴
-
3.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Pattern)카테고리 없음 2020. 2. 26. 13:03
1. Class Diagram 1) 기본구조 2) 실제 사용예 2. Decorator Pattern?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 각 추가 기능을 Decorator 클래스로 정의한 후 필요한 Decorator 객체를 조합함으로써 추가 기능의 조합을 설계 하는 것. 즉, 기본 틀은 만들어 놓고 여러가지를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자인 패턴. 3. OCP (Open-Closed Principle) OCP(Open-Closed Principle)는 하나의 디자인 원칙이다. 그리고 이 디자인 원칙은 Decorator Pattern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CP(Open-Closed Principle) 클래스는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코드 변경에 대해서..
-
1. Strategy Pattern개발기초/Design Pattern 2020. 2. 24. 12:54
0. Strategy pattern? 행위를 클래스로 캡슐화해 동적으로 행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해주는 패턴 스트래티지를 활용하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와는 독립적으로 알고리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Strategy pattern을 구성하는 3대 요소 1) 전략 메서드를 가진 전략 객체 2) 전략 객체를 사용하는 컨텍스트(전략 객체의 사용자/소비자) 3) 전략 객체를 생성해 컨텍스트에 주입하는 클라이언트(제3자, 전략 객체의 공급자) 2. Strategy Pattern 예제 (출처: https://limkydev.tistory.com/84) Strategy.java (전략 인터페이스 정의) public interface Strategy { void runStrategy(); }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