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Pattern)카테고리 없음 2020. 2. 26. 13:03
1. Class Diagram 1) 기본구조 2) 실제 사용예 2. Decorator Pattern?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 각 추가 기능을 Decorator 클래스로 정의한 후 필요한 Decorator 객체를 조합함으로써 추가 기능의 조합을 설계 하는 것. 즉, 기본 틀은 만들어 놓고 여러가지를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자인 패턴. 3. OCP (Open-Closed Principle) OCP(Open-Closed Principle)는 하나의 디자인 원칙이다. 그리고 이 디자인 원칙은 Decorator Pattern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CP(Open-Closed Principle) 클래스는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코드 변경에 대해서..
-
2.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카테고리 없음 2020. 2. 25. 13:05
1. Class Diagram 2. Observer Pattern? * 옵저버 패턴의 구성요소 출판사 + 구독자 = 옵저버패턴 출판사 = 주제(subject) 구독자 = 옵저버(observer) 옵저버 패턴의 구성요소만 외우자. 이걸 좀 더 자세하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구독자들이 출판사에 구독을 신청하면, 출판사는 새로운 책이 출간될 때마다 구독자들에게 책을 나눠준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구독자들은 구독을 원치않으면 구독을 취소할 수도 있다는 것과 동일한 개념. 즉, 하나의 주제(Subject)객체에 여러 옵저버(Observer) 객체들이 구독을 신청(add)하면, 주제 객체는 변경사항이 생길때마다(update) 옵저버들에게 변경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옵저버들은 해당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
-
1. Strategy Pattern개발기초/Design Pattern 2020. 2. 24. 12:54
0. Strategy pattern? 행위를 클래스로 캡슐화해 동적으로 행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해주는 패턴 스트래티지를 활용하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와는 독립적으로 알고리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Strategy pattern을 구성하는 3대 요소 1) 전략 메서드를 가진 전략 객체 2) 전략 객체를 사용하는 컨텍스트(전략 객체의 사용자/소비자) 3) 전략 객체를 생성해 컨텍스트에 주입하는 클라이언트(제3자, 전략 객체의 공급자) 2. Strategy Pattern 예제 (출처: https://limkydev.tistory.com/84) Strategy.java (전략 인터페이스 정의) public interface Strategy { void runStrategy(); } Star..
-
0. 디자인 패턴에 대해개발기초/Design Pattern 2020. 2. 20. 12:55
1. 디자인 패턴? 훌륭한 객체지향 디자인이라면 재사용성, 확장성, 관리의 용이성을 갖춰야 한다 훌륭햔 객체지향 디자인 품질을 갖추고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해 준다 2. 디자인 원칙 1) 디자인을 잘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게 좋다. (1) 애플리케이션에서 달라지는 부분을 찾아내고, 달라지지 않는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달라지는 부분을 찾아서 나머지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캡슐화한다. 모든 디자인 패턴의 기반을 이루는 원칙이다. 코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일이 일어나는 것을 줄인다.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구현이 아닌 인터페이스에 맞춰서 프로그래밍한다. 상위 형식에 맞춰서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반드시 자바의 인터페이스를 사..
-
[Java 기초] 람다식카테고리 없음 2019. 6. 9. 22:53
1. 람다식? 람다식이란 "매개 변수를 가진 코드 블록"으로 "익명 구현 객체"를 생성하는 녀석이다. 음. 말이 어렵다. 그냥 코드로 보자. // 익명 구현 객체 Runnable runnable = new Runnable() { public void run() { ... } }; // 익명 구현 객체를 람다식으로 표현 Runnable runnable = () -> { ... }; 위의 코드를 보면 new Runnable()이라는 익명구현객체를 {public void run() {...}};으로 구체화 시키고 있다. 그리고 람다식은 위의 익명구현객체를 정말 간단하게 단 몇줄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녀석을 말한다. (코드 사용하는걸 보면 거의 대부분 인터페이스를 구체화하는 용도로 많이 쓰는거 같다) 2..
-
[Java 기초] Stream - 1개발언어/Java 2019. 5. 26. 22:04
0. 들어가기 전에. Java뿐만 아니라 C언어로 개발하면서, 그리고 OS 수업 등을 들을 때, Stream이라는 용어를 꽤나 접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금껏 stream에 왜 stream이라는 단어가 쓰였는지 생각도 안해봤다. 그냥 외웠지..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니 stream은 영어 뜻 자체가 '흐름'이라는 말이고, 이것을 개발쪽으로 가져와서 생각해보면 '데이터가 흐르는 통로?'같은거라고 생각해볼 수 있을거같다. 그리고 이것을 염두해두고 Stream을 공부하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운거같다. 1. Stream? "컬렉션(배열 포함)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하나씩 참조해서 람다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복자" (즉, 스트림은 컬렉션을 통로로 해서 데이터를 흘려보내고, 이것을 하나하나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Java 기초] 멀티스레드 - 2카테고리 없음 2019. 5. 15. 20:50
1. 데몬 스레드 데몬 스레드는 주 스레드의 작업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스레드입니다. 즉, 백그라운드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대기상태로 돌아가는 스레드를 말합니다. 만일, 주 스레드가 종료된다면 백그라운드로 돌고있던 데몬스레드도 자연스럽게 같이 종료되게 됩니다. 데몬 스레드 생성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setDaemon(true)을 선언해주면 됩니다. public class AutoSaveThread extends Thread { public void save() { System.out.println("save"); } @Override public void run() { while(true) { try { Thread.sleep(1000); //1초를..
-
[Java 기초] 멀티 스레드 - 1개발언어/Java 2019. 5. 13. 20:44
1. 멀티스레드란? 스레드(thread)는 본래 '실 가닥'을 뜻하는 용어이다. Java에서는 이것을 '한 가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실행할 코드를 실처럼 이어놓은 것'을 말한다. 즉, 스레드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작업에 스레드를 줘서 스레드를 가진 작업들은 동시에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법을 의미한다. 2. 작업스레드의 생성/실행 작업스레드는 Thread 클래스로부터 직접 생성하는 방법과 Thread 하위 클래스로부터 생성하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1) 직접생성 Thread는 java.lang.Thread 클래스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데, 작업 스레드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 코드처럼 Runnable을 매개변수로 받는 생성자를 호출해야한다. Thread t1 = new Thre..